Home심리학나이 들어서도 하고 싶은 일을 못 찾았다면? 이헌주 연세대 연구교수의 가이드라인

나이 들어서도 하고 싶은 일을 못 찾았다면? 이헌주 연세대 연구교수의 가이드라인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기 어렵다고 느끼며, 특히 나이를 먹을수록 더 어려워진다. 이헌주 연세대 연구교수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욕구와 지문처럼의 고유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좋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출처: 스터디언 유튜브 채널

내면의 나침반 찾기

이헌주 교수는 우리 모두가 유기체이며, 내면에는 나침반이 숨겨져 있다고 말한다. 이 나침반은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두 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 경쟁이 치열한 현대사회에서 내면의 나침반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많은 사람들은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 고민한다. 이헌주 교수는 ‘좋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왜냐하면 ‘잘하는 것’을 찾을 경우 나보다 잘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 지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출처: 스터디언 유튜브 채널

과거, 현재, 미래의 길

이헌주 교수는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해 ‘과거에 걸어왔던 길’, ‘현재 서 있는 길’, ‘아직 가야 할 길’이라는 세 가지 길에 주목하라고 말한다. 특히 ‘길을 잃었을 때’는 과거를 되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출처: 스터디언 유튜브 채널


스터디언
유튜브 바로가기
 

자주하는 질문들과 내면의 대화

사람들은 일상 생활에서 긴급한 일에 집중하다 보니,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는 경우가 드물다. 이헌주 교수는 나에게 질문을 던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래야만 내면의 나침반을 찾을 수 있다.

경험의 역사에서 답을 찾다

이헌주 교수는 과거의 경험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헨젤과 그레텔의 이야기처럼 길을 잃었을 때 과거를 되돌아보고, 그 과정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마무리: 내면의 나침반을 잃지 않고 살아가기

이헌주 교수의 조언에 따르면,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은 ‘내면의 나침반’을 찾는 과정과도 같다. 이 나침반이 가리키는 방향은 ‘좋아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진정한 자기 자신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내면에 질문을 던지고, 과거의 경험에서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도 자신만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Most Pop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