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자신의 삶이 잘 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빈번하게 한다. 이러한 고민에 대응하는 다양한 이야기와 조언이 있는데, 그 중 몇 가지를 다루고자 한다.
법륜스님이 수행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는 “수행을 하면 100일 뒤, 천일 뒤에는 반드시 더 좋은 사람이 되고 더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수행의 과정은 항상 좋지 않을 수 있으나, 그래도 나쁜 날에도 변함없이 계속하면 결국 좋아진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오늘의 일기나 기록이 아니라 지속적인 노력과 올바른 방향이며, 그렇게 하면 진리가 드러날 것이라는 믿음이다.
자신의 능력이 부족하다는 고민에는 공자와 제자 연구의 대화에서 찾을 수 있는 힘이다. 공자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포기하지 말고, 대신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라고 가르친다.
하고 싶은 일을 찾지 못한 고민에 대해서는 법륜스님이 이렇게 조언했다: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세 번만 따라가 보라. 맛을 보다 보면 괜찮은 것이 생기기 마련이다. 좋아하는 음식을 찾으려면 다양한 음식을 먹어보는 것처럼, 하고 싶은 일을 찾으려면 시도해보고 경험해야 한다.
어떻게 살고 싶은지에 대한 고민에는 무라카미 하루키와 황농문 교수의 일상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있다. 둘 다 일과 운동을 조화롭게 조율하며 생활하고 있다. 하루키는 일찍 일어나서 달리기를 하고 소설을 쓴다. 황농문 교수는 졸릴 때는 휴식을 취하고 꾸준히 운동을 하며 연구를 한다. 둘 다 생활의 리듬과 규칙을 중시하며 운동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창의력을 키운다.
결국, 이러한 고민들은 자신의 삶과 가치에 대한 깊은 성찰로 이어진다. 수행의 의미와 끈기, 능력과 가능성, 진로의 선택과 시도, 그리고 건강하고 창의적인 일상의 조화 등이 이 고민들을 해결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