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심리학시간 낭비 없이, 좋아하는 일을 찾는 방법: 이헌주 교수의 혁신적 접근

시간 낭비 없이, 좋아하는 일을 찾는 방법: 이헌주 교수의 혁신적 접근

연세대학교 연구교수이자 상담심리사인 이헌주 교수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불안감과 무기력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좋아하는 일을 찾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그의 생각과 방법론을 여섯 가지 핵심 주제로 나누어 살펴본다.

출처: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유튜브 채널

불안의 근원 찾기

이헌주 교수는 불안이 일으키는 문제의 근원을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불안감이 생기면 그 원인을 빨리 핸드폰의 메모장 등에 기록하는 것이 좋다. 이런 방식으로 명확한 대상을 알아내고 대처할 수 있다.

두려움을 특별한 것으로 변화시키기

불안이 명확한 대상으로 바뀌면 그것을 두려움으로 바꿀 수 있다고 교수는 설명한다. 두려움은 불안보다 명확한 대상을 가지므로, 그것을 대처하는 방법이 더 쉽게 찾아질 수 있다.

출처: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유튜브 채널

개인의 고유한 창조성을 알아보기

이헌주 교수는 정신분석학자 이의원이 컷의 주장에 따라, 사람마다 태어날 때부터 고유한 창조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를 이해하면 각자가 어떤 일을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다.

출처: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유튜브 채널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유튜브 바로가기
 

과거를 회고하며 힌트 찾기

교수는 과거를 회고하며 그 당시 좋아했던 것들을 다시 한번 떠올려보는 것이 현재의 불안감을 해결하는 힌트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것이 현재와 미래에 어떤 힌트를 줄 수 있는지를 이해하면 불안감을 줄일 수 있다.

상대적 박탈감을 이해하기

이헌주 교수는 “상대적 박탈감”이란 개념을 언급하며, 좋아하는 일을 찾을 때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다른 사람보다 더 잘해야겠다는 압박감 때문에 본래의 즐거움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깊이 있는 질문을 통한 자기성찰

마지막으로 교수는 좋아하는 일을 찾을 때 깊이 있는 질문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이를 통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떤 즐거움을 주는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Most Popular